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완기 혈압이 높으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by 3초전33 2025. 7. 4.
반응형

혈압은 수축기(최고혈압)와 이완기(최저혈압)로 나뉩니다. 이완기 혈압이 높다는 것은 심장이 이완 상태에서 혈관에 걸리는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로, 주로 젊은 층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방치하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커집니다.

이완기 혈압 정상 범위는?

대한고혈압학회 기준:

  • 정상: 이완기 혈압 80mmHg 이하
  • 고혈압 전단계(고혈압 전증): 80~89mmHg
  • 고혈압 1기: 90~99mmHg
  • 고혈압 2기: 100mmHg 이상

따라서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 진단 범주에 들어갑니다.

이완기 혈압만 높은 경우(단독 확장기 고혈압)

수축기 혈압은 정상인데 이완기 혈압만 90mmHg 이상으로 높은 경우를 단독 확장기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주로 20~40대 젊은 연령층에서 관찰되며, 높은 심박출량, 교감신경 항진, 비만, 스트레스, 과도한 나트륨 섭취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이완기 혈압이 높으면 위험한 이유

이완기 혈압이 높을수록 심장이 쉬는 동안에도 혈관의 압력이 높아 심장과 혈관에 지속적으로 부담이 갑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등의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
  • 심장 비대(좌심실비대)로 심장 기능 저하
  • 혈관 내피 손상으로 동맥경화 가속화

이완기 혈압은 특히 젊은 사람일수록 심혈관질환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완기 혈압 높은 이유(원인)

1) 교감신경 항진: 스트레스, 수면 부족, 과도한 카페인 섭취
2) 비만: 혈관 저항이 커져 혈압 상승
3) 고나트륨 식단: 염분 과다 섭취는 혈액량과 혈관 저항을 증가시킴
4) 유전적 영향: 가족력 있는 경우 조기 발병 가능성 ↑

이완기 혈압 높을 때 관리 방법

  • 체중 관리: BMI를 23 이하로 유지
  • 저염식: 하루 나트륨 섭취 2g(소금 5g) 이하 권장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하루 30분 이상, 주 4회 이상
  • 금연·절주: 니코틴과 알코올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킴
  • 스트레스 관리: 심호흡, 명상, 규칙적인 수면

혈압은 자가측정기로 주 3회 이상 측정해 추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물치료는 언제 시작하나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지속**되거나, 가족력/비만/당뇨/고지혈증 등 심혈관 위험 인자가 동반된 경우 의사와 상의해 항고혈압제 복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완기 혈압이 높으면 Q&A

Q1. 이완기 혈압만 높으면 무조건 약을 먹어야 하나요?
A. 아니요. 1~2개월 간 생활습관 개선 후에도 지속되면 약물치료를 검토합니다.

Q2. 수축기는 정상인데 이완기만 높으면 괜찮은 건가요?
A. 단독 이완기 고혈압도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니 반드시 관리해야 합니다.

결론: 이완기 혈압, 방치하지 마세요!

이완기 혈압이 높으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개선으로 혈압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고, 필요하다면 전문의와 상의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세요.

이완기 혈압이 90 이상이라면 관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