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압이 높을 때 증상? 원인부터 응급처치, 치료까지 완전정리!

by 3초전33 2025. 7. 3.
반응형

안압이 높을 때 증상은 대부분 초기에 뚜렷한 자각 증상이 없지만, 진행되면 시력 손상과 심하면 실명까지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안압은 안구 내부 압력으로, 정상 범위는 보통 10~21mmHg로 알려져 있으며, 이 수치를 초과하면 녹내장 등 심각한 안과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안압 상승의 원인부터 주요 증상, 응급상황, 치료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안압이 높아지는 원인

  • 방수(안구 내 액체) 배출 장애로 안구 내 압력이 증가
  • 유전적 요인: 가족 중 녹내장 환자가 있다면 발병 위험이 4~10배 증가
  • 고도근시, 고혈압, 당뇨병, 갑상선질환 등 만성질환 동반
  • 스테로이드제 장기 사용
  • 눈 외상이나 안구 수술 후 발생

📋 안압 상승 주요 증상

  • 시야가 흐릿해지고, 초점이 맞지 않음
  • 야간에 빛 주위로 무지개빛 후광(halo)이 보임
  • 눈이 뻑뻑하거나 눈 속에 압박감, 통증 느낌
  • 두통, 특히 관자놀이 주변이 쑤시듯 아플 수 있음
  • 심할 경우 구토, 매스꺼움 동반
  • 초기엔 증상이 거의 없어 정기검진 없이는 모르고 지나가기 쉽습니다.

🚨 급성 안압 상승(급성폐쇄각녹내장) 증상

  • 갑작스러운 심한 눈통증과 두통
  • 한쪽 눈의 급격한 시력 저하
  • 구토, 심한 메스꺼움 동반
  • 빨갛게 충혈된 눈
  •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하며, 치료 지연 시 몇 시간 내에 영구적 시력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압 상승 시 응급처치

  1. 가능하다면 바로 안과 전문의 진료 예약
  2. 급성 증상일 경우 119나 응급실로 즉시 이동
  3. 스스로 안약을 사용하는 것은 금물(부적절한 안약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

📋 안압 정상범위와 비교

구분 안압(mmHg) 특징
정상 10~21 녹내장 위험 낮음
의심범위 22~25 정밀검사 필요
고안압 26 이상 녹내장, 시신경 손상 위험 높음

🏥 안압 상승 치료 방법

  • 약물치료: 방수 생성 억제제, 방수 배출 촉진제(점안제, 내복약)
  • 레이저 치료: 레이저홍채절개술 등 방수 흐름 개선
  • 수술치료: 섬유주절제술, 방수유출관 삽입술 등 고안압 조절이 안될 때 시행

💡 안압 관리 생활습관

  • 스마트폰, 독서 시 30~40분마다 눈 휴식
  • 밤샘작업, 과도한 카페인 섭취 줄이기
  • 머리를 너무 낮추는 자세(요가 거꾸로 서기 등) 피하기
  • 금연과 적정 체중 유지로 혈류 개선
  • 정기적인 안과검진으로 안압과 시신경 상태 확인

🚨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

  • 빛 번짐, 시야흐림, 두통 등의 증상이 반복될 때
  • 가족력이 있어 녹내장이 의심되는 경우
  • 당뇨병, 고혈압, 고도근시 등 고위험군에 해당될 때

📢 결론

안압이 높을 때 증상은 초기엔 자각하기 어렵지만, 시야 흐림, 두통, 눈 통증, 무지개빛 후광이 보이면 안압 상승을 의심해야 합니다. 특히 급성 증상은 시력을 잃을 수 있으니 신속히 병원에 내원하세요. 정기적인 안과검진과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녹내장 등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